![]() |
위 )새장식 뚜껑항아리의 뚜껑(대대리 하대유적, 국립중앙박물관 소장)
아래 좌측) 오리모양토기(대대리 하대유적, 높이17.5, 부산대박물관 소장)
아래 우측) 오리모양토기(삼정리 하삼정유적, 높이 41.8, 국립김해박물관 소장)
|
[삼한시대]
새모양 토기는 넓적한 부리, 닭의 볏, 과장되게 튀어나온 눈, 등위에 원통형 주입구, 꼬리끝의 주출구가 있다. 다리는 실제 오리다리가 아닌 의례용 토기에 부착되는 굽다리이다.
Hint! 주출구란? 注부을(주), 出날(출), 口입(구)로 밖으로 부을 수 있는 구멍이다.
[QR코드 연계- 가로세로낱말퍼즐 Hint!]
고대인들은 새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사후세계까지 전해주고, 봄에 곡식을 가져온다는 조령신앙을 믿었다.